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ython 가상환경 구축하기(명령 프롬프트, VSCode)
    IT 2023. 12. 7. 19:21
    반응형

    파이썬 가상환경 구축이 필요한  이유

    • 각 파이썬 프로젝트는 다른 라이브러리 버전이 필요할 수 있다. 가상환경을 사용하면 프로젝트별로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의존성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 가상환경을 설정하면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어,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에서 다른 환경에서도 동일한 설정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다.
    • 프로젝트에 필요하지 않은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할 때 각각의 환경을 분리하여 관리함으로써, 프로젝트 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이썬 다운로드하기

     

     

    • 본인이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썬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 간혹, 아래 버전처럼 파이썬 인스톨러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Note를 읽어보면, 해당 버전에서 인스톨러를 제공하는 버전이 명시되어있다.

     

     

    • 파이썬 3.8의 경우 인스톨러를 제공하는 마지막 버전이 3.8.10이므로 해당 버전으로 설치하면 된다.

     

     

    • 32bit와 64bit는 본인의 PC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된다. 잘 모르겠으면 recommanded라고 되어있는 64bit를 설치하면 된다.

    파이썬 설치하기

    • 파이썬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 처럼 'customize installation' 메뉴가 보일 것이다. Add Python 3.8 to PATH에 체크하고 Customize installation을 선택한다.

     

     

    • 이후 Next를 누르다보면 Advanced Options가 나오는데, 맨 위에 있는 'install for all users'를 체크하고 파이썬이 설치되는 경로를 확인한다.

     

     

    • install을 하면 아래와 같이 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환경 설정하기 (CMD)

    • 본인은 파이썬 개발 시, 프로젝트 내에 가상환경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유는 프로젝트 내에 가상환경이 포함되어있으면 공유할 때 불편한 점이 많다. 따라서 가상환경 관리를 위한 별도의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토리에서 가상환경을 관리한다.
    • 먼저, 파이썬 가상환경 관리를 위한 폴더를 생성한다. 본인은 E 드라이브에 'virtual_env'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했다. 원하는 디렉토리 아무 위치에 생성해도 상관없다.
    •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cd 명령을 이용해서 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명령 프롬프트는 window키 + r을 눌러서 '실행'창을 띄운 뒤, cmd입력 후 확인을 누르면 실행된다.

     

     

    • 아래 명령에 따라 본인이 설치한 파이썬 버전에 맞는 가상환경을 생성하면 된다.
      • py -[파이썬 버전] -m venv [가상환경 이름]
      • ex) py -3.8 -m venv testvenv
    • 생성 후, dir 명령을 이용해서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확인해보니 잘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 생성한 가상환경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가상환경 이름]\Scripts' 경로에 'activate' 파일이 보일 것이다. 해당 파일을 이용해서 가상환경을 활성화할 수 있다.

     

     

    •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 명령을 통해 가상환경을 활성화할 수 있다.
      • [가상환경 이름]\Scripts\activate
      • ex) testenv\Scripts\actiavte

     

     

    • 명령 프롬프트 앞에 가상환경 이름(testvenv)이 나타나면 잘 활성화 된 것이다.
    • 비활성화는 'deactivate' 명령으로 할 수 있다.

     


    가상환경 설정하기 (VScode)

    • 다음은 VScode에서 생성한 가상환경을 설정해보도록 하겠다.
    • VScode는 공식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VScode를 설치했다면, 왼쪽 익스텐션 메뉴에서 Python을 설치한다.

     

     

    • Python 익스텐션까지 설치되었다면 프로젝트를 열어보자.
    • 좌측 상단 메뉴를 누르면 'Open Folder'가 보인다. 눌러서 프로젝트 폴더를 열면 된다.

     

     

    • 프로젝트를 열고, Ctrl+Shift+~ 커맨드로 터미널을 열어보자.

     

     

    • 이제 가상환경을 활성화해보자.
    • Ctrl+Shift+P 커맨드를 눌러서 select interpreter를 검색한다. 아래 나오는 'Python: Select Interpreter'를 선택한다.

     

     

    • '+ Enter interpreter path...' 메뉴를 선택한다.

     

     

    • 'Find...'를 선택하면 인터프리터 선택 창이 나타난다.
    • 아까 생성했던 가상환경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python.exe를 찾는다.
    • python.exe는 activate가 있었던 폴더(Scripts)에 존재한다.
    • python.exe를 선택하고 'Select interpreter'를 선택한다.

     

     

    • 그리고 다시 Ctrl+Shift+~ 커맨드로 터미널을 실행한다.
    • 아래와 같이 가상환경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

    • vscode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아래 명령을 수행하면 가상환경이 정상적으로 활성화 될 것이다.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