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 접속을 위한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하기IT 2023. 11. 15. 17:58반응형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이란?
포트 포워딩은 홈 네트워크의 특정 기기에 외부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술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1.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의 주소는 기본적으로 192.168.0.1로 접속할 수 있다.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난다.
공유기 관리자 로그인 계정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포트포워딩을 하기 전에
보안을 위해 반드시 재설정 하는 것을 권장한다.
로그인에 성공했다면 화면에 보이는 "관리도구"를 선택한다.
2. 포트 포워딩 하기
관리도구를 선택하면 공유기 "시스템 요약 정보" 화면이 나타난다.
왼쪽 메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메뉴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필자의 경우 포트 포워딩이 되어있기 때문에 포트포워드 설정 정보들이 나타난다.
포트 포워딩을 처음하는 사용자라면 비어있는 것이 정상이다.
사용자 규칙
- 사용자가 포트 포워딩 설정 정보에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 규칙 이름을 aaa, bbb와 같이 의미없는 단어로 지정할 경우, 설정 정보가 많아지면 어디에 사용되는 포트인지 헷갈릴 수 있으므로 포트의 목적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지정한다.
내부 IP주소
- 포트 포워딩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려는 디바이스(서버, PC 등)의 사설 IP를 의미한다.
- 공유기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공유기로부터 사설 IP를 할당 받는다.
- iptime 공유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192.168.0.x 대역의 사설 IP를 할당 받는다.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로 설정할 수 있다.
- TCP의 경우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전송 등 데이터의 정확성과 순서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 UDP의 경우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음성 통화) 등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중요하고, 일부 데이터 손실이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 때로는 양쪽 프로토콜을 모두 포워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따라서 본인이 사용하는 서버의 목적과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TCP를 사용한다.
외부 포트 & 내부 포트
- (외부 포트) 외부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통신에 사용되는 포트
- (외부 포트) 이 포트는 공유기가 공개적으로 사용하는 포트 번호로, 외부에서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청이 이 포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 (내부 포트) 내부 포트는 공유기가 내부 네트워크 내의 특정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하는 포트
- (내부 포트) 이 포트는 대상 장치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로, 라우터는 외부 포트로 받은 데이터를 이 내부 포트를 통해 특정 장치로 전달한다.
- 외부 네트워크는 PC방, 카페, 지하철, LTE 등과 같은 네트워크이고 내부 네트워크는 집에서 사용하는 PC, 서버 등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이해하면 쉽다.
- 예를 들어, 서버의 주소가 mydomain.com이고 외부 포트가 80, 내부 포트가 8080으로 설정되어있을 때,
- 외부 네트워크에서 "mydomain.com:80"으로 요청을 보내면 공유기가 "내부 IP주소:8080"으로 요청을 전달한다.
포트 설정 시 주의할 점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s): 0-1023
- 이 범위의 포트들은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IANA)에 의해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어 있다.
- 예를 들면, HTTP는 80번, HTTPS는 443번, FTP는 21번, SSH는 22번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s): 1024-49151
- 이 범위의 포트는 사용자나 조직이 특정 서비스에 대해 등록할 수 있다.
- 많은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가 이 범위 내의 포트를 사용한다.
동적 또는 개인 포트(Dynamic or Private Ports): 49152-65535
- 이 포트 범위는 공개적으로 할당되지 않으며, 개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임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임시 포트로 사용된다.
충돌을 방지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포트 포워딩 설정 시 이미 널리 사용되는 포트 번호를 피하는 것이 좋다.
3. 실제 적용하기
홈 네트워크의 공인 IP 확인하기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의 "시스템 요약 정보" 메뉴에 접속하면 아래 그림처럼 외부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IP주소가 홈 네트워크의 공인 IP이다.
포트 포워드 정보 추가하기
아래 그림처럼 본인 환경에 맞추어 내부 IP주소, 프로토콜, 외부 포트, 내부 포트를 입력하고 적용한다.
적용하면 포트 포워드 설정 정보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올바르게 적용되었다면 우측 상단의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접속하여 확인하기
"홈 네트워크의 공인 IP:80"으로 접속하여 설정된 디바이스(192.168.0.123)의 8080포트로 요청이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4. 추가
IPTIME 공유기 뿐만아니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유기에서도 포트포워딩을 지원한다.
관리 페이지 접속 주소, 초기 관리자 계정 정보, 사설 IP 대역 등이 다를 수 있지만 위 내용을 이해했다면 큰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으로 보안뉴스 크롤링(Crawling) 하기 (0) 2023.12.12 파이썬 장고(Django) 템플릿(template) 상속하는 방법 (0) 2023.12.07 Python 가상환경 구축하기(명령 프롬프트, VSCode) (2) 2023.12.07